루베계산법 알아보세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건설현장에서 흔히쓰이는 표현인 루베라는 말과 계산법에 대해서 잠시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이렇게 공사현장에서 쓰이는 말들은 일본말과 어감이 비슷해서인지 일제시대의 잔재라고 흔히 말하기도 하지만 사실이 입증된건 아닌듯 합니다.
일단 루베라는 것은 ㎥ 로 표기하고있는데 입방미터 즉 부피(체적)를 말하는것으로써 계산방법은 길이(m) x 폭(m) x 높이(m)=루베(㎥)가 됩니다.
그러므로 길이(m) X 폭(m)=헤베(㎡)와의 차이는 높이 부분을 고려한다는 뜻이됩니다.
헤베(㎡)는 평방미터라고 한다는 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것이니 참고하시구요.
루베계산법의 예를 들어보면
루베는 세제곱미터(㎥), 즉 가로, 세로, 높이를 곱한 체적을 의미하는것인데요
가로가 10m, 세로 10m, 두께 0.5m의 기초를 한다고 가정했을때 몇 루베계산법을 알아보면
10m ×10m ×0.5m=50㎥(루베) 즉 50루베의 콘크리트가 필요하게 된다는 걸 알수가 있게됩니다.
일반적인 레미콘 1대의 콘크리트 분량은 6루베라고 하는데요, 계산법 알아보실때 같이 참고해 보세요.